오도원입니다.

건강과 행복을 위하여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05

지구는 평평하다 - 인간은 우주에 간적이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K4peaDzsW1g 13년도에 러시아에 실제 운석이 떨어졌던 영상이다. 이런 식으로 운석이 떨어지는 영상은 민간인 촬영이 존재할 정도로 꽤 존재한다. 그러나 유인 우주선 귀환 캡슐의 영상은 민간인이 촬영한 것은 찾아볼 수 없고, 있다면 언론사 혹은 나사에서 제공하는 영상 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부분은 '지구는 평평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인간은 우주에 간 적이 없다"고 주장할 때 쓰는 근거이다. 민간인이 귀환 캡슐이 떨어지는 장면을 찍은 적도 없고, 나사와 언론사에서 제공하는 영상과 자료들은 모두 조작된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그들의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운석 영상에 비해 귀환 캡슐 영상의 수가 매우 적다. 2. 민..

5장. 깃허브로 협업하기 - 원격 저장소 사용하기

깃허브를 통해서 협업을 진행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프로젝트 파일에 접근 할 수 있다. 하나의 원격 저장소를 중심으로 둘 이상의 지역 저장소와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연결된 원격 저장소와 지역 저장소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2.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3. 협업의 기본 알아보기 4. 협업에서 브랜치 알아보기 1.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하나의 깃허브 계정으로 둘 이상의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를 공유해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git_home을 개인 컴퓨터의 저장소, git_office를 회사 컴퓨터의 저장소라고 가정하고 진행하겠다. 1)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 git clone 원격 저장소(remote ..

Development/Git 2020.02.07

어른이 된다는 것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현재 내 나이가 24살이지만, 나는 한번도 내 자신이 어른이라고 생각해본 적은 없다. 요즘은 아무리 나이가 많아도 어른스럽지 못하면 어른이라는 수식어 대신 꼰대라는 칭호를 달아준다. 그렇다면 다시,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어른이 된다는 것은 불합리한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불합리한 세상과 마주한다. 아니 태어난다는 것 자체가 불합리하다. 우리는 우리의 의사와 관계없이 이 세상에 던져진다. 물론 생명의 탄생은 축복받을 일이다. 그렇지만서도 태어나 성장하면서, 수많은 불합리함을 마주친다. 시험, 성적, 친구관계, 연인, 이별, 취업. 어떠한 단어를 나열해도 그것 속에는 불합리함이 묻어있다. 그러나 우리는 자라면서 그 불합리한 현실..

0.99999... = 1 ?

1. 결론 0.99999...는 1이다. 2. 3가지 오해 1) 0.999...는 계속 1에 다가가고 있는 수이다? 이것과 비슷한 예로 '0.999...는 1에 가까워지는 수이다' 가 있다. 이것은 수에 대한 완전히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된 착각이다. '수'라는 것은 절대로 어떤 것에 다가간다던지 가까워진다던지 하는 그러한 개념이 없다. 예를 들어 5라는 수가 시간이 지나면 점점 6으로 변한다던지 4로 바뀐다던지 하는 말을 들어본적이나 있던가. 만약 5는 정수라서 다르다는 말을 한다면 같은 무한 소수인 π(파이)를 보자. π가 3.141592...에서 갑자기 3.1416으로 바뀐다거나 움직이는게 가능한 것인가? 아니면 자연상수 e(2.71828...) 이 갑자기 2.8로 바뀌는 것은 가능한가? √2, √3..

# 3. History로 보는 운영체제 (1950년대 ~ 1960년대)

1. 1950년대 ~ 1960년대 1) 1950년대 첫번째 컴퓨터 애니악(EANIAC ) 운영체제가 없었다. 1개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도 바빴으며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자원을 제어, 관리했다. 2) 1960년대 초기 배치 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 출현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등록시켜놓으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배치 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체제가 출현했다. 철수 : 프로그램 1 영희 : 프로그램 2 프로그램 실행방법은 프로그램 1 -> 프로그램 2 또는 프로그램 2 -> 프로그램 1 밖에 없다. 3) 배치 처리 시스템의 단점 1. 컴퓨터 응답시간(reponse time)이 오래 걸린다. 앞에서 실행 시간이 많이 드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기 때..

# 2.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1. 응용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엑셀, 파워포인트, ...) 응용 프로그램 = Appication(일반 PC) = APP(모바일) 정리하면, 프로그램 = 소프트웨어이고,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와 운영체제가 아닌 것. 즉, 응용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2.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관계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응용 프로그램간의 권한을 관리한다. ex)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관리 ex) 로그인 이런 식으로 운영체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이유는 응용 프로그램은 누구나 만들 수 있기때문이다. 예를 들어, 무한 반복문을 넣거나, 코드를 잘못 작성하여 프로그램이 다운되거나, 모..

# 1. 운영체제 큰 그림 이해하기

운영체제 역할 1. 시스템 자원(System Resource) 관리자 운영체제는 Operation System, OS라고 부른다. 첫번째 역할로서 시스템 자원 즉,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한다. - 시스템 자원(System Resource, 컴퓨터 하드웨어) CPU(중앙처리장치) Memory(DRAM, SRAM) I/O Devices(입출력장치) -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네트워크(데이터 송수신) 저장매체(Storage) - SSD, HDD 컴퓨터 하드웨어는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CPU : 각 프로그램이 얼마나 CPU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없다. Memory : 각 프로그램이 어느 주소에 저장되어야하고, 어느 정도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없다. 저장매체(SSD,..

다수를 살리기 위해 소수를 죽이는 것은 정당한가.

정당하다 [正當--] : 이치에 맞아 올바르고 마땅하다. 다수를 살리기 위해 소수를 죽이는 것이 이치에 맞아 올바르고 마땅한가 라고 물어본다면 대부분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에서는 대부분이 다수를 살리기 위해 소수를 죽이는 방향으로 집단의 존립을 유지시켰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행동할까? 나는 그것이 이치에 옳고 그름을 떠나서 집단에 더 이익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다수를 죽인다면 집단의 이익보다 손해가 더 클 것이고, 소수를 죽이는 것이 손해를 줄일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도 이런 양상은 쉽게 볼 수 있다. 기업에서의 구조조정 또한 기업이라는 다수를 살리기 위해서 소수의 직원을 죽이는 행위이다. 이로서 남은 다수의 직원들과 기업은 살아남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고는 "해당 입장이 ..

신은 존재하는가

신에 대한 사람들의 관점을 살펴보면 대략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신이 존재한다. 둘째, 신은 없다. 셋째, 상관없다. 사실 현대 사회에서는 세번째 관점이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겠지만.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면에 첫번째와 두번째 관점 중 하나를 갖고 살아갈 것이다. 내가 신이 있다고 주장한다면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인간의 염기서열은 A, G, T, C의 배열로 이루어져 있다. 염기서열은 DNA의 기본단위 뉴클레오타이드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핵염기들을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을 말한다. 유전자는 생물의 유전형질을 결정하는 단백질을 지정하는 기본적인 단위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염기서열을 통해 단백질을 지정하는 원리를 따른다. 약 30억쌍 정도의 염기서열이 존재한다. 하지만 저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