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상환경을 제외하고 압축한다. 가상환경을 새로 구성한 환경안에서 만들어야한다.
1. pythonanywhere에 압축파일 업로드
https://www.pythonanywhere.com/
pythonanywhere를 이용하여 배포하겠다. 회원가입, 로그인 생략
압축했던 파일을 업로드하고 bash console을 연다.
압축을 해제한다. unzip command를 사용하고, -d 옵션을 사용하면 폴더를 지정할 수 있다.
2. 가상환경 생성
해당 명령어는 리눅스계열 os에서의 가상환경 생성 command이다. flask_virtual 이름의 가상환경을 생성했다.
가상환경 활성화. 리눅스이므로 맥과 같이 source명령어를 사용하고 Scripts가 아닌 bin 폴더에서 activate을 한다.
3. 필요한 패키지 설치
flask, flask-wtf, flask-sqlalchemy 세 개의 패키지를 설치한다.
여기까지 하면 설정은 다 했다. 이제 배포해보자.
1. 소스코드 설정
경로는 working directory 하위에 내가 생성했던 flask_study이다. 소스 위치를 지정했다.
2. 프로젝트 파일 설정
이제 소스안에서 app.run 이런 식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해야한다. 이것은 WSGI 이 파일 안에서 설정한다.
3. 환경설정
아까 생성했던 가상환경의 경로를 적어준다.
이제 reload를 눌러준다.
배포완료
반응형